반응형
반응형
Vue Query 란?Vue 에서 비동기 데이터를 fetch, update를 하고 데이터를 캐싱 처리 할 수 있는 훅을 가진 라이브러리입니다.React Query 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React Query - 비동기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알아보기React Query란? React Query는 비동기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입니다. React에서 서버의 데이터 fetch를 도와주고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React Query 장점 1. 적은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 2. 캐싱 3.powerku.tistory.com장점 Vue에서는 주로 Vuex를 이용하여 전역 상태 관리를 클라이언트에서 하였습니다.하지만,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 변..
Slot 이란? Vue에는 Slot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부모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temlplate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ps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지만, template은 전달할 수 없고, Props 만을 이용해서 각각의 template를 전달하려면 코드가 복잡하고 알아보기 어렵게 됩니다. Slot를 이용하면 공통적인 template를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lot 사용법 Content BaseCard 내부에 작성한 Content 가 slot 태그 내부에 들어가게 됩니다. named Slot 사용법 두개의 template를 사용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Header Content header 가 들어갈 곳에는 slo..
개발 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자식 컴포넌트를 새롭게 렌더링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 컴포넌트를 리렌더링 하는 방법 4가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4가지 방법 중 가장 아래에 있는 key를 이용해서 리렌더링 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1. reload() 사용하기 화면을 새롭게 다시 그리는 방법입니다. 완전히 모든 컴포넌트와 화면을 다시 그리기 때문에 성능상으로 비효율적입니다. Reload 2. if문 이용하기 아래 코드의 동작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1. v-if문을 이용해서 컴포넌트를 숨김 2. $nextTick을 이용해서 DOM을 업데이트 합니다. 3. 다시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렌더링을 합니다. $nextTick 3. $forceUpdate 사용하기 $forceUpdate를 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