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Agile) 방법론 중의 하나인 데일리 스크럼이 있습니다.
애자일(Agile) 은 긴민한 민첩함이란 뜻입니다.
애자일 방법론은 개발 과정에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요구사항에 대하여 유연하게 반응하기 위해서 추구하는 방법론입니다.
그중 데일리 스크럼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데일리 스크럼이란?
팀 구성원들이 매일 회의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어려움을 이야기합니다.
정해진 시간에 회의를 진행하며, 약 15분 정도 진행합니다.
데일리 스크럼 하는 방법?
1. 참석인원 정하기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는 인원이 참가해야 합니다. 기획, 개발자 등 프로젝트에 필요한 인원이 참석하고 필요에 따라서 프로젝트 리더 등 관리자도 참석이 필요합니다.
2. 매일 정해진 시간, 장소 정하기
많은 팀원들이 일을 시작하기 전 아침에 회의를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회의 시간은 15분 내로 정하고 장소는 모든 구성원들이 모이기 편한 곳으로 정합니다. 스탠딩 회의로 서서 진행을 하기도 하고, 간단히 회의실을 정하기도 하고, 화상 회의를 통해서 진행을 하기도 합니다.
3. 회의 진행 방식 및 내용 정하기
아래 내용을 구성원들이 순서를 정하여 이야기를 합니다.
- 어제까지 무엇을 했는지?
- 오늘 무엇을 할 것인지?
- 문제 사항이 있는지?
문제 사항의 경우에 간단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이야기하고 길어진다면 데일리 스크럼 종료 후에 따로 회의를 진행합니다.
데일리 스크럼 장단점
장점
매일 회의를 통해 진행상황을 공유하게 되면 동기부여가 되며, 문제가 생겼을 시 빠른 조치가 가능합니다.
협업의 효율성이 늘어나게 됩니다.
관리자는 매일 진행 상황에 대해서 공유를 받기 때문에 일정 관리에 호율적이고, 프로젝트 지연이나 문제 발생 시에 조기 대처가 가능합니다.
단점
데일리 스크럼 회의 시간이 15분 내 이므로 문제점 발생 시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합니다.
매일 회의를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시간을 소모하는 부담감이 있고 팀원들이 반응이 없고 무응답이 될 수 있습니다.
또 과도한 관리와 통제를 하게 되면 자율성과 창의성을 저해하여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애자일 방법론에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들을 프로젝트 진행할 때 적재적소에 도입하여 다들 좋은 유연한 프로젝트 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애자일 데일리 스크럼 3주 진행 후 중단 후기
마감이 촉박한 프로젝트에 투입되었다. 프로젝트 리더가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데일리 스크럼을 도입하겠다고 했다. 데일리 스크럼을 통해서 매일 진행한 일과 앞으로 할 일에 대하여 공유하여
powerk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