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리액트 prop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여서 엘리먼트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Hello라는 컴포넌트를 간단하게 만듭니다. function Hello() { return Hello } export default Hello 위와 같이 Hello 컴포넌트를 만들고 Hello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게 되면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 ); Hello 글자가 나옵니다. 이제 Hello 컴포넌트 네임 props를 전달하여서 Hello 컴포넌트에 이름을 넣어보겠습니다. function Hello(props) { return Hello {props.name} } export default Hello..
간단하게 React 프로젝트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1. Node 설치하기 먼저 컴퓨터에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https://nodejs.org/en/ 2. 터미널 열기 터미널을 열고 본인이 React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합니다. 3. React 설정하기 터미널 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npx create-react-app hello-react hello-react는 프로젝트 이름이며, hello-react 폴더가 생기며 자동으로 react 설치됩니다. 짜잔 설치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서 react 프로젝트를 실행해보겠습니다. cd hello-react npm start 자동으로 localhost:3000이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